본문 바로가기

포토샵

포토샵 첫 화면 설정 (새로 만들기, 화면 색 변경, 탭 분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포토샵을 혼자,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을 위해 아주 기본적인 것들부터 알려드리려고 해요~

디자인툴을 잘 다룰 줄 알면, 할 수 있는 것도 많고 아이디어를 펼칠 기회도 많아지는 것 같아요!

포토샵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셨다면 제가 친절히 알려드릴테니 그냥 믿고 쭉 따라와주세요:)



1. 새로 만들기

 


일단, 포토샵을 실행하면 이런 창이 뜨고, ‘새로 만들기’ 와 ‘열기’ 탭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으실 거예요. ‘새로 만들기’는 작업을 수행할 새로운 종이를 하나 꺼내는 것이고, ‘열기’는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여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참고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라 단축기를 알려드리자면,
‘새로 만들기’는 ctrl+N, ‘열기’는 ctrl+O 입니다.
(New의 N, Open의 O 로 기억하면 쉽겠죠?)


‘새로만들기’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일단 지금 보셔야 할 것은 파일 이름, 사이즈, 색상 모드 입니다.

일단 파일 이름을 변경하고, 사이즈를 원하시는 대로 설정합니다. (저는 1080*1080 으로 설정했어요!)

색상모드는 RGB 색상과 CMYK 색상 중에 선택하면 되는데, 간단하게 말해서, RGB는 화면용(스마트폰 화면, 컴퓨터 화면 등), CMYK는 인쇄용(프린트물)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최종적으로 만든 작업물을 화면으로만 볼 것이기 때문에 RGB 색상으로 선택합니다.

전부 설정하셨으면, ‘만들기’ 를 눌러줍니다.



2. 화면 색 변경



포토샵은 기본적으로 어두운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화면 색을 변경하고 싶을 때는,

[Edit(편집)]-[preferences(환경설정)]-[Interface(인터페이스]를 클릭하면, 색상 테마 중에 마음에 드는 색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3. 파일 탭 분리



포토샵으로 작업하다보면, 화면을 두개 이상 띄워서 동시에 작업해야하는 상황이 생기는데요. 이때는 간단하게 분리하고 싶은 탭을 아래로 드래그하면 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탭이 분리된 것을 볼 수 있죠?





4. 파일 저장



작업을 끝마치고 저장을 하는 방법은,
[File(파일)]-[Save(저장)]을 클릭해서 파일 위치랑 파일명을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또는 [File(파일)]-[Save as(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하면, 파일 형식을 jpg등으로 바꿀 수도 있어요.

참고로, 단축키는 저장의 경우 ctrl+S, 다른 이름으로 저장의 경우 ctrl+shift+S 입니다.




이렇게 포토샵에서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파일을 어떻게 열고 어떻게 저장하는지까지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포스팅 땐 레이어 정리하는 방법을 업로드 할게요!


도움 되셨다면 좋아요랑 댓글 남겨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2020/08/10 - 어도비 포토샵으로 머리카락 따기, 동물 털 따기

 

어도비 포토샵으로 머리카락 따기, 동물 털 따기

포토샵으로 사람 얼굴을 잘라내야 하는데 머리카락 때문에 망설이셨나요? 걱정하지마세요~ 바로 자석 올가미 도구(Magnetic Lasso Tool)과 선택 및 마스크(select and mask)를 이용하면 됩니다! 1. 이미지 �

school-bus.tistory.com

2020/08/08 - 포토샵 색 채우기 (배경색, 도형색 채우기)

 

포토샵 색 채우기 (배경색, 도형색 채우기)

이 글을 누르신 분들 중 대다수는 ‘색상을 채우려는데 도대체 어떤 도구를 써야하는 거야?’ 라고 생각하시고 검색을 하셨을텐데요~ 보통 우리에게 익숙한 프로그램에서는 채우기 색이나 선 ��

school-bus.tistory.com

2020/08/07 - 포토샵의 기본, 레이어 이동 (예제)

 

포토샵의 기본, 레이어 이동 (예제)

오늘은 레이어가 포토샵에서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해서 알아볼건데요. 사실 포토샵은 레이어를 쌓고 쌓는 방식이어서, 그만큼 레이어를 잘 다루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또 제대로 알고 넘어가야

school-bus.tistory.com